「2021년도 과학관 운영 실태조사」 결과보고
- 작성일 2021-11-05
- 조회수 2,201
「2021년도 과학관 운영 실태조사」 결과보고
□ 사업 개요
❍ (조사목적) 과학관법*에 의거 국내 과학관 현황을 매년 체계적으로 조사․분석하여 과학관 발전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 과학관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4조의4(과학관 운영 실태조사)
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과학관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에 반영하여야 한다.
❍ (조사대상) 등록과학관 (2020년 146개 기관: 국/공/사립 12/89/45개 기관)
❍ (방법/내용) 온라인조사 / 기능별 운영현황, 직원 및 관람객 현황 등
❍ (조사기간/예산) 4.30.~8.30.(120일) / 40,000천원(전국과학관 네트워크)
□ 개선 사항
❍ (문항 개선)문항 추가* 및 재분류를 통한 정합성 및 시의성 개선
* 휴관일수, 감축인원, 언택트 프로그램 신규 추진, 온라인 시스템 구축 등
❍ (응답률 제고)코로나-19 영향과 다년간 누적된 응답 피로에도 실질 응답률 증가
* 2020년: 90.6% (125/138), 2021년: 91.1% (133/146, 휴·폐관/응답거부 7/6)
❍ (비교대상 확대)등록과학관 조사결과를 국내 미등록과학관(10개 기관 추가조사) 및 ASTC 회원기관(’18년 기준 118개 기관)과 비교
□ 결과 요약
❍ (주요 항목) 개관일, 관람객, 전시품, 과학기술자료, 재정, 인력 등
- (과학관 수) 총 146개 (△8개 기관/△5.8%)
- (개관일) 평균 190일 (▼112일/▼37%)
- (관람객) 평균 53,102명 (▼105,555명/▼67%)
- (전시품) 평균 811점 (▼21점/▼2.5%)
- (과학기술자료) 신규취득 총 46,059점/35,547,300천원*
*신규문항: 작동·체험형 전시품(926점/24,371,008천원)포함
- (수입) 평균 1,785백만원** (▼449백만원/▼20%)*
*(구분) 국/공/사립 각 ▼12.3%/▼17.9%/▼56.9%
**(내역) 자체수입 311백만원(▼517백만원/▼62.4%) 중 입장료 190백만원(▼402백만원/▼68%), 지원금수입 1,473백만원(△68백만원/△4.9%) 중 지방비 390백만원(△103백만원/△36%)
- (지출) 평균 1,867백만원 (▼459백만원/▼19.7%)*
- (구분) 국/공/사립 각 ▼17.5%/▼14.1%/▼47.8%
- (인력) 평균 23.7명* (▼11%)
*(구분) 국/공/사립 각 114.4명/14.7명/17.2명 (▼3.5%/▼11%/▼21%)
- (코로나19 영향) 온라인프로그램 신규운영(51개관, 온라인전시/교육 평균 7.9회/11.1회 운영), 감원(10개관, 90명)* 및 무급휴직(4개관, 49명)**
*사립 8개관(송암스페이스센터 30명, 광명에디슨뮤지엄 20명, 아이니테마파크 11명, 로봇스퀘어 10명 등), 공립 2개관(홍성조류탐사과학관 3명, 울진해양생태관 1명)
**사립 4개관(한생연 소속 3개관 48명, 자연과별 가평천문대 1명)
❍ (ASTC 비교) 개관시기, 면적, 관람객, 유료입장객, 직원 수 등
- (개관시기) 중앙값 2010년 (ASTC: 1984년, 2010년 이후 8.5%)
- (시설면적) 연면적/실내전시면적 중앙값 2,387m2/873m2 (ASTC: 9,647m2/3,176m2)
- (관람객수) 평균 53,102명 (ASTC: 평균 412,870명)*
*ASTC 자료는 2018년(코로나-19 발생 이전) 기준
- (직원 수) 평균 23.5명, 중앙값 6명 (ASTC: 평균 131.3명, 중앙값 80.5명)
※자연사박물관의 경우, 기관 수(n=10)가 적고 공립과학관과 유사한 경향
□ 향후 계획
❍ (결과공유) 결과보고서 파일 관계기관(전국 국·공·사립 과학관, 과학기술문화과) 메일발송 및 전국과학관 길라잡이 누리집 게시
❍ (계획수립) ’22년 조사계획 수립(’21년 중) 및 ’22년 조사 조기착수(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