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홍보 자료 어린이 과학달력

HOME > 소통마당> 홍보 자료> 어린이 과학달력

(매년 3월 14일) 파이 데이

  • 작성일 2021-11-11
  • 조회수 3,111
(매년 3월 14일) 파이 데이

☆동그란 원주율, 파이 π (원 둘레와 지름 사이의 비율)


▶ 끝없이 계속되는 원주율 파이(π)

동그라미를 그린 다음 동그라미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선을 그려보아요. 원주율이란 처음에 그린 동그라미의 둘레와 동그라미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선의 비율을 뜻하는 말입니다. 동그라미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선을 우리는 ‘지름’이라 불러요. 그래서 지름에 원주율을 곱하면 동그라미의 둘레 길이가 나와요. 그래서 우리는 지름과 원주율만 알면 동그라미를 바로 그릴 수 있어요. 그런데 곱하기를 할 때 2, 4, 6 이렇게 숫자가 딱 있으면 곱하기 편할 텐데 원주율은 그렇지 않아요. 원주율 숫자를 아무리 알려고 해도 끝없이 계속 이어진답니다. 그래서 간단하게 3.14라고 쓰기도 하는데, 실제로는 끝없이 이어지는 숫자예요. 3.14159265358979... 이렇게 계속 숫자들이 이어진다고 해요. 사람들은 이렇게 숫자가 끝없이 이어진다는 것이 잘 이해가 가지 않았어요.


▶ 3.14? 3월 14일!

알쏭달쏭한 원주율, 사람들은 이 원주율을 숫자로 길게 부르지 않고 간단하게 파이(π)라고 불러요. 1706년 영국의 수학자 윌리엄 존스가 둘레를 뜻하는 그리스어 "페리페레스"(περιφηρής)의 첫글자인 파이(π)를 쓰자고 제안했어요. 그 이후로 많은 수학자와 사람들이 원주율 숫자를 길게 쓰는 대신에 파이(π)를 쓰게 되었답니다. 구운 빵의 하나인 파이도 동그랗기 때문에 ‘파이는 동그래’ 느낌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아요. 원주율 파이(π)는 보통 3.14를 써서 계산해요. 지름이 1cm인 원의 둘레는 약 3.14cm가 되는 거예요. 그래서 “원주율이 3.14니까 3월 14일에 파이를 기념하자!” 해서 3월 14일이 원주율의 날이 되었어요. 파이의 날에 사람들은 모여서 원주율을 계속 외우거나 파이를 함께 나눠 먹으며 이 날의 수학적 의미를 생각하고 함께 즐긴답니다. 이러한 파이의 날은 그 행사가 커져서 2019년에 “세계 수학의 날”로 지정되었어요. 그래서 전 세계의 대학교 수학과와 여러 수학 연구소에서는 이 날을 기념하는 행사를 연다고 해요.


▶ 중요하고 기다란 숫자, 파이(π)

아주 오래전에는 파이(π)의 값이 계산하는 방법마다 제각각이었어요. 사람들은 파이의 값을 계산하다가 틀리기도 했고 정확하지 않기도 했어요. 이후 사람보다 계산이 더 정확한 컴퓨터가 발명되었어요. 우리가 지난 2월에 보았던 에니악 컴퓨터를 이용해 파이(π)를 계산했고, 에니악은 1949년에 70시간 동안 소수점 2,037자리까지 계산을 해 냈어요. 컴퓨터를 통한 파이(π)값 계산은 계속 발전했고 2021년 8월에는 스위스에서 연구자들이 파이(π)의 값을 소수점 아래 62조8천억 번째 자리까지 알아냈다고 해요. 우리가 하나하나 세기에는 엄청나게 긴 숫자입니다. 단지 원의 지름과 둘레의 비율일 뿐인 원주율 파이(π)에는 많은 이야기가 숨어 있어요. 파이(π)는 수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숫자 가운데 하나일 뿐만 아니라, 우리 친구들이 앞으로도 계속 만나게 될 숫자랍니다.


현재 페이지의 내용이나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시나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