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8회 사이언스데이 홍보영상

(나레이션)과학은 딱딱하고 어려운 분야일까요
학생들이 만나는 과학은 어떠한 모습일까요
어려운 공식과 손쉽게 다가 서지 못하는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어
힘들고 친근감이 떨어지는 학문의 하나일까요

(학생1)하나의 문화라고 볼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도 또 어렵게 느끼지 않은 과학은 쉬우면서도
사람들이 좋게 생각할 수 하나의 놀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레이션)4월 과학의 달을 맞아 과학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학생들에게 직접 자신들이
학교 및 과학동아리등에서 연구했던 과학을 설명해주고 방문한 학생 및 학부모들은
눈높이에 맞는 과학설명을 들으면서 재미와 흥미를 느끼고 있답니다.
특히, 여러 과학 부스 중 즐거움이 가득한 과학 부스를 찾아 과학을 설명해주고 즐기는 사람들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과학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을 현장에서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생2)과학이란 저희가 학교에서 배우는 것중의 하나이고 그리고 저희가 끊임없이 탐구하는 것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우리 주위에 널려있는 모든것이 다 과학이거든요.
(학생3)지금 요새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들은 너무 과학을 어려워 하고 있는 것 같애요.
그래서 그러한 것들을 좀 더 쉽게 쉽게 그리고 학생들이 좀더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는 그러한 계기가 됐으면 해서 이곳에 나오게 됐습니다.

(학생1)저는 이런 경험을 토대로 사람들이 이제 쉽게 좀더 재미있게
과학을 알 수 있도록 열심히 좀 헌신할 것이며 또 이런 활동을 토대로
사람들이 잘 알지 못했던 이런 스피룰리나 같은 어려운 개념들을 보다
좀 더 우리 실생활에서 알 수 있도록 그런 노력을 할것입니다.

(학생4)친구들 와서 많이 가리키면서 보면서 많이 매우 뿌듯합니다.
저희가 알려줘서 하나라도 더 알고 간다는것이 더 뿌듯합니다.

(나레이션)너무나 재미있게 과학을 소개해주고 있는 학생들을 만나보면서 이들의 미래과학을 이끌어 나가는 주인공이자 재미있고 흥미있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미래과학은 아이들에게 과학세상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주어야 미래과학이 성장을 한다고 합니다.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을 통해 더욱더 어른들도 다양한 과학체험을 함께 할 수 있는 공간마련과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