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에서는 오래 전부터 매미를 아주 친근하게 여겨왔다. 애벌레인 굼벵이가 땅속에서 올라와 허물을 벗고 날개를 펼치며 매미가 되는 모습 때문에 불교에서는 ‘해탈’을 상징했고, 도교에서는 껍질을 벗고 새로운 몸을 얻기 때문에 ‘재생’을 상징하기도 했다.
유교에서는 매미를 덕이 많은 곤충으로 여겨서 조선시대에 관리들이 쓰던 모자에 매미 날개 모양의 장식을 달아 왕과 신하가 사용하기도 했다. 영조 때의 문신이자 가객인 이정신(李廷藎)은 매미의 고어인 ‘매암’과 ‘쓰르람’의 울음소리를 듣고 초야에 묻혀 사는 즐거움을 다음의 시조로 나타내기도 할 정도였으니,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매미를 대단히 기분 좋은 생물로 여겨왔음이 확실하다.
“매암이 맵다 울고 쓰르람이 쓰다 우니, 산채(山菜)를 맵다는가 박주(薄酒)를 쓰다는가. 우리는 초야(草野)에 뭇쳐시니 맵고 쓴 줄 몰라라.”
하지만 최근에는 매미가 그간의 친근함을 넘어 여름밤 쇠를 깎는 듯한 큰 소리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밤잠을 방해하면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매미는 땅속에서 애벌레인 굼벵이로 인고의 세월을 보낸 후 땅 위로 나와 허물을 벗고 예쁜 어른벌레가 되어 한 달 정도 살면서 짝짓기를 하고 알을 낳은 후 일생을 마무리 한다.
매미의 7년이 넘는 인고의 시간을 지나 한 달 정도를 어른벌레로 살아가는데, 이 시기는 종족 번식에 아주 중요하다. 암수가 만나 짝짓기하고 알을 낳아야 하는데, 이 때 암수를 만나게 해주는 것이 바로 암컷을 부르는 수컷의 큰 울음소리인 것이다. 곤충에서는 소리가 다른 종을 구분하고 같은 종에서 암수 간에 소통하는 중요 수단이라서 소리발생 장치와 청각기관이 발달된 곤충들이 많다. 이 곤충들 중에서 매미는 대표 격으로 암수 간에 구애신호용으로 소리를 내고 듣는다.
곤충들이 내는 소리의 주파수는 수백 Hz에서 100kHz 이상까지 광범위한데 매미의 울음소리는 3~16kHz의 범위에 있다. 매미의 울음소리는 대부분 진동음(vibration) 방식으로 만들어 진다. 매미의 배딱지 속 진동막, V자 모양의 근육인 발음근과 공명실 역할을 하는 배의 공기주머니 등이 소리를 만들고 크게 증폭시킨다. 매미의 진동음은 발음근이 진동막을 빠르게 진동시켜 발생되고, 이 때 진동음의 주파수는 진동막의 진동 속도와 2차적인 복부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된다.
수컷은 소리를 내면서 복부를 최대한 신장시켜 안쪽의 공기주머니에서 소리의 울림을 최대화해 음량을 크게 한다. 이렇게 커진 소리는 배딱지와 복부 사이가 벌어지면서 생긴 틈을 통해 밖으로 울려 퍼진다. 수컷매미의 소리를 듣는 암컷매미의 고막은 같은 종 수컷이 내는 울음소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암컷은 수컷의 울음소리가 들리면 소리가 나는 가장 가까운 곳으로 날아가 앉고 마지막에는 시각적인 신호로 서로를 인지해 암수 간에 짝짓기를 하게 된다. 종에 따라서는 암수 간에 소리 외에도 페로몬이라는 화학물질을 추가로 사용해 소리와 함께 서로를 인식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한 여름 밤에 계속되는 매미의 시끄러운 울음소리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매미가 시도 때도 없이 운다고 알고 있지만, 매미는 아무 때나 울어서 소중한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게 잘 진화해 왔다. 사실 매미가 울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맞아야 한다. 한 가지는 체온이 특정 범위에 맞춰져야 한다. 즉 주위 온도가 일정치 이상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임계온도 이상이 돼야 발음근이 작동하며 그 온도는 종마다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하나는 주위의 밝기다. 밝기, 즉 조도가 일정수준 이상 또는 이하일 때만 우는 종들이 많다.
어떤 매미는 햇빛이 강한 날에 잘 울며, 구름이 많이 끼고 흐린 날에는 잘 울지 않는다. 또 같은 종일지라도 태양의 조도가 높은 경우에는 매우 빠른 속도로 울고, 반대로 조도가 낮은 경우에는 매우 느린 속도로 울기도 한다. 주변 온도나 조도 차이 때문에 매미 종별로 우는 때가 다르며, 또 환경변화에 의해 본래는 울지 않던 시간대에 우는 경우가 종종 있다.
2015년 12월을 기준으로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종목록에는 한반도에 13종의 매미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됐고, 이 중에서 도심에서 소음공해를 주로 일으키는 종은 말매미(Cryptotympana atrata)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