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하면 가히 ‘주의보 전성시대’라 할 수 있겠다. ‘미세먼지주의보’와 ‘황사주의보’ 때문에 외출을 자제하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오존주의보’까지 가세해 외출하려는 우리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그런데 납득이 가지를 않는다. 오존(ozone)을 주의하라니. 미세먼지나 황사는 건강에 좋지 않은 유해 물질이기 때문에 이를 주의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오존의 경우는 살균제 원료로 사용되거나 자외선을 막아 주는 유익한 물질로 알고 있는데, 어째서 주의하라고 하는 것일까?
이제 얼마 안 있으면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되는데, 휴가를 떠나기 전에 앞서 오존의 정체에 대해 분명하게 알아봐야겠다. 그래야 휴가를 안심하고 야외에서 보낼 수 있을 테니까 말이다.
■ 오존이 더울수록 증가하는 이유는 이산화질소 때문
3개의 산소원자로 구성된 오존(O3)은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를 가진 기체다. 자극적인 냄새는 강한 산화력 때문인데, 이 같은 산화력은 살균 및 악취제거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오존은 사람에게 유익함과 해로움을 동시에 제공하는 두 얼굴을 가진 기체다. 우선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은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해로운 자외선을 대부분 흡수해 지구상의 생명체를 보호하는 방호막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익한 존재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지표면에서 생성되는 오존은 인체에 해로운 존재다. 흡입했을 경우 맥박과 혈압이 감소하고,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정도가 심할 경우 폐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고, 눈에 노출되면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이 오존에 장기간 노출되게 되면 호흡곤란과 어지럼증을 호소하고 심하면 천식과 호흡기 만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일기예보의 진행자가 오존에 주의하라고 강조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들 때문이다.
실제로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 1991년에서 1997년까지 8년 동안 전국 7대 도시의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서울의 경우 오존 농도가 10ppm 높아질 때마다 사망률도 0.9%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존농도(ppm) | 노출시간 | 영향 |
0.1~0.3 | 1시간 | 호흡기 자극증상 증가, 기침, 눈자극 |
0.3~0.5 | 2시간 | 운동 중 폐기능 감소 |
0.5 이상 | 6시간 | 마른기침, 흉부 불안 |
표1. 시간별 오존의 인체영향(자료: 환경부) |
구분 | 시민 | 차량운전자(소유자) | 관계기관 | 사업장 |
주의보 | ·노천소각금지 요청 ·대중교통이용 권고 ·주민 실외활동 및 과격운동 자제 요청 ·노약자, 어린이, 호흡기 환자, 심장질환자의 실외활동 자제 권고 | ·경보지역 내 차량운행 자제 권고(Carpool제 시행) ·대중교통이용 권고 ·자동차 사용 자제 요청 | ·주의보 상황 통보 ·대중홍보매체에 의한 대국민 홍보요청 ·대기오염도 변화분석 및 기상관측자료 검토 요청 | |
경보 | ·소각시설 사용제한 요청 ·주민 실외활동 및 과격운동 제한 요청 ·유치원, 학교 등 실외 학습 제한 권고 ·노약자, 어린이, 호흡기 환자, 심장 질환자 실외 활동 제한 권고 | ·경보지역 내 자동차 사용제한 명령 | ·경보상황 통보 ·대기오염 측정 및 기상관측 활동강화 요청 ·경보상황에 대한 대국민 홍보강화 요청 | ·연료 사용량 감축권고 |
중대경보 | ·소각시설 사용중지 요청 ·주민 실외활동 및 과격운동 금지 요청 ·유치원, 학교 등 실외 학습 중지 및 휴교권고 ·노약자, 어린이, 호흡기 환자, 심장 질환자 실외 활동 중지 권고 | ·경보지역 내 자동차 통행금지 | ·중대경보상황 통보 ·대기오염측정 및 기상 관측활동강화 요청 ·위험사항에 대한 국민 홍보강화 요청 ·경찰에 교통규제 협조 요청 | ·조업단축 명령 |
표2. 오존경보 발령시 조치사항(자료: 환경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