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2025년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 종합심사 상정자료 공고 및 의견청취
공지유형
등록일 2025-09-26
조회수 16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5-932호
2025년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 종합심사 상정자료
공고 및 의견청취
2025년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 예비심사 결과, 종합심사에 상정하기로 한 자료의 의견청취를 위해 「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에 관한 고시」(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제2022-43호) 제8조에 따라 공고합니다.
2025년 9월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연번 | 명칭 | 생성‧제작‧개발‧건립된 시기 | 상정 사유 | 소유자/ 관리기관 | 소재지 | 자료 유형 |
1 | 이터븀광시계 (KRISS-Yb1) | 2002∼2021 | 국내 최초의 광시계로, 세계 다섯 번째로 국제도량형국의 공인을 받아 세계표준시, 대한민국 표준시 생성, 우주기술 등에 기여하고 있는 자료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대전시 유성구 | 기초 과학 |
2 | 다목적실용위성 1호 준비행모델 (PFM) | 1997~1998 | 국내 최초의 다목적 실용위성 시험·검증 모델로, 한국형 실용위성 개발의 출발점이 된 자료임. 1999년 12월 21일 최종 비행 모델이 발사에 성공하면서 준비행 모델은 연구 및 교육 목적으로 보존되었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실용위성 검증 모델 자료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시 유성구 | 산업 기술 |
3 | 남극세종과학기지 제1차 월동연구대 연구일지 및 방한복 | 1988 | 세종과학기지를 준공(1988)하여 제1차로 파견된 월동연구대 연구대 대장 장순근 박사의 연구일지 4권, 단체사진 및 연구조원으로 참여한 이동화 대원이 실제 착용한 방한복으로 남극연구활동의 출발점이 된 남극세종과학기지 설립과 연구활동을 상징하는 자료 | 국립해양박물관 | 부산시 영도구 | 과학 기술사 |
4 | 국내 최초 혜성(Yi-SWAN 혜성) 발견 관측 자료 | 2001∼ 2009 | 아마추어 천문가인 이대암이 한국인 최초로 혜성을 발견 할 때 사용한 적도의, 카메라, 노트북 등의 장비와 2009년 미국 하버드대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 관측소로부터 수상한 에드가 윌슨 상패 등의 자료임. 아마추어도 천문 관측을 통해 과학기술적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과학기술사적 가치가 높은 자료 | 영월군 | 강원도 영월군 | 기초 과학 |
5 | 무장읍성 출토 비격진천뢰 | 조선시대 | 무장읍성에서 출토된 비격진천뢰는 임진왜란 중에 개발된 폭탄으로, 2018년 무장읍성 발굴조사 과정에서 11점이 출토됨. 비격진천뢰 중 뚜껑이 확인된 유일한 사례로서 설계 및 제작 기법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기여한 자료 | 고창군 | 전북 고창군 | 과학 기술사 |
6 | 의방유취 (醫方類聚) 권201(卷二百一) | 1477 | 당시 전해오던 여러 의서를 모아 편찬한 종합 의서로서 1445년(세종 27년)에 집현전 학자들에 의해 365권으로 편찬되었고, 30년 넘게 교정과 정리를 거쳐 1477년(성종 8년) 266권264책으로 발간,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1권(권201) 만이 국내에서 발견된 유일한 원본으로 과학기술사적 가치가 큰 자료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 음성군 | 과학 기술사 |
7 | 연구용원자로 TRIGA Mark-II | 1962 | 연구용 원자로 1호기 TRIGA Mark II는 1962년 완공되어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가 1995년 준공될 때 까지 운영, 국내 원자력 연구개발을 위한 최초의 시설로서 국내 원자력 인력 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원자력 분야 연구와 기술개발에 기여한 자료 | 한국원자력연구원 | 서울시 노원구 | 산업 기술 |
8 | CDMA 시스템 | 1995 | CDMA 시스템은 1991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1995년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독자적인 CDMA 방식의 상용시험 및 신기술 상용화 연구를 세계 최초로 성공시킨 사례로, 국내 이동통신 산업을 활성화하고 선진국으로서의 기반을 마련한 기술임. CDMA의 개발로 우리나라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시스템 등 장비 전량 수입 국가에서 수출 국가로 탈바꿈 할 수 있었고, 막대한 경제적 파급 효과를 거둠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시 유성구 | 산업 기술 |
9 | 4M DRAM 시제품 | 1986 | 4M DRAM은 1986년부터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1989년에 개발을 완료, 정부 주도로 산학연 협력을 통해 4M DRAM을 선도국가와 근소한 차이로 개발에 성공하였고, 이후 개발 경험이 민간으로 이전되어 민간 주도로 16M DRAM을 개발하고, 64M DRAM을 1992년 세계 최초로 개발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음. 우리나라 DRAM 기술이 세계를 선도하는 계기로서의 가치가 인정되는 자료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대전시 유성구 | 산업 기술 |
10 | 소백산천문대 관측일지 | 1978~ 2001 | 소백산천문대는 1974년에 한국 최초의 현대식 망원경을 설치하고, 현재까지 약 50년간 관측을 계속 진행하고 있으며, 관측일지는 1978년 12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수기로 작성된 자료임. 관측 기록을 비롯하여 기상 상황, 장비의 상태, 수리, 유지보수 내역, 관측대상 등의 망원경 운영에 필요한 모든 내용이 기록된 국내 천문학자들의 연구 활동과 천문대 운영 노하우가 축적된 자료 | 한국천문연구원 | 충북 단양군 | 과학 기술사 |
11 | 폴리부텐 제조기술 관련 연구자료 | 1985~ 1991 | 폴리부텐 제조기술은 1985년부터 1991년까지 개발한 독자적인 기술로, 전량 수입하던 폴리부텐을 국내 최초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국가의 과학기술 발전 및 산업적 응용을 동시에 충족시킨 과학기술발전 측면에서의 중요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은 자료 | 한국화학연구원 | 대전 유성구 | 산업 기술 |
1. 공고 기간: 2025. 9. 26.(금) ~ 2025. 10. 27.(월)
2. 의견 접수
가. 제출서류
1) 의견 제출서(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에 관한 고시 별지 제10호)
2)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국가중요과학기술자료 등록에 관한 고시 별지 제16호)
나. 제출시한: 2025. 10. 27. 18:00 도착분
다. 제출방법: 전자우편(knsh@korea.kr) 혹은 등기우편(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481 국립중앙과학관, 행정동 2층 한국과학기술사과/우편번호: 34143)
※ 제출 서류는 반환하지 않으나, 원본으로 제출된 증빙서류에 한해 반환희망 요청 시 반환(사본의 경우 반환하지 않음).
3. 문의처: 국립중앙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과(042-601-8037, 7951)
붙임 1. 의견 제출서 및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