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우리나라 성곽축조과학

  • 청원 남성골산성 이미지
  • 청원 남성골산성 이미지
  • 청원 남성골산성 이미지
  • 청원 남성골산성 이미지
  • 청원 남성골산성 이미지
과학영상자료실의 상세내용의 표: "클릭한 항목"의 이름, 분류, 상세분류, E-book을 포함한 표
고구려 금강유역 진출의 최전선 남성골산성
이름 청원 남성골산성
시대 고구려
분류 목책성
소재지 세종특별시 부용면 부강리 산25번지 일원
청원 남성골산성 이미지
청원 남성골산성 이미지
청원 남성골산성 이미지
청원 남성골산성 이미지
청원 남성골산성 이미지
내용

일반설명
남성골산성은 세종특별시 부용면 부강리 산25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금강상류의 북쪽 기슭에 해당한다. 남성골산성이 위치하고 있는 부강은 금강을 이용한 수로교통과 육로교통의 요충지이다.
남성골산성은 내, 외곽의 구조를 갖추고 있는 고구려의 성책유적이다. 내곽은 산 정상부와 남서쪽과 북동쪽을 감싼 형태로 서쪽과 동쪽에 성문터가 있으며, 둘레는 360m 내외예요. 내곽은 가장자리를 따라 시설된 이중의 목책과 치 1개소, 동문지의 석축벽체, 목책 안쪽의 수혈구덩이, 수혈 주거지 등이 확인되었다. 내곽의 서쪽으로 이어지는 외곽은 내곽과 같이 가장자리를 따라 이중의 목책이 설치되어 있으며, 목책 안쪽으로 구들 집자리와 목곽고, 수혈유구, 원형의 수혈구덩이 등 주거와 생산, 저장시설이 분포하고 있다.

축조과학
남성골산성을 지금까지 확인된 고구려의 성곽유적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성책유적으로 장수왕 대 고구려가 금강유역까지 진출했다는 직접적인 고고학적 자료이다. 남성골산성은 목책으로 구축된 성책으로 유적이나 기술적으로 성곽이 호(성 둘레 구덩이)와 목책단계에서 토성과 석성으로의 발전단계를 보여주는 축조기술이 확인되고 있다.
남성골산성의 구조는 정상부의 내곽과 서쪽으로 낮아진 사면대지의 외곽을 이중으로 돌린 목책과 내곽에서 동쪽으로 낮아지며 이어지는 능선부를 차단하는 4중의 호, 성벽이 구부러지거나 돌출된 부분에 시설된 치, 그리고 내곽 정상부의 성문터인 동문지의 석축벽체를 특징으로 하는 성책유적이다. 호는 정상부를 동쪽에서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4개를 능선을 가로질러 조성했다.
안팎의 두 줄로 된 목책은 마치 판축토성에서의 거푸집을 만들 듯이 되어 있다. 계단식으로 땅을 파서 나무기둥을 세우기 위한 구덩이를 만들고 나무기둥을 안쪽 열은 구덩이의 바깥쪽으로 치우쳐 세우고, 바깥쪽 열은 구덩이의 안쪽으로 치우쳐 세운 후 두 기둥사이에 군데군데 보조기둥을 세웠다. 벽을 구성하는 기본 틀이 이루어진 다음 목재를 귀틀로 짜서 벽을 만들고 그 위로 점토를 발라 사용하되, 바깥쪽 목책은 일정높이까지 작은 할석으로 벽을 축조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목책 단계로부터 토축과 석축성벽으로 발전하는 성곽축조기술의 발전양상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감수 : 조순흠 박사
안내
상기 내용은 2015년 전문가 감수를 받아 제작된 자료로 최신내용과 상이할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관련 과학관 & 사진 자료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위로 향한 꺽쇠

TOP